서울시 하반기 청년이주비 지원 신청기간 및 수수료(중개수수료)

서울시는 청년들에게 수시로 이사비 지원을 하고 있으며, 이번 8월 신청 기간이 공개되었습니다.(상반기는 이미 마감되었고, 이번 지원은 하반기입니다.) 아래 안내사항을 참고하시어 꼭 혜택을 받으시기 바랍니다. 서울시 이사비 지원 – 하반기 실비 지원(추가 비용 포함) (최대 40만원 한도)

청년들은 원룸으로 이사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보증금 500만원에 월세 60~70만원으로 오피스텔이나 원룸에 살다가 다시 이사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원상복구비(부동산 중개수수료)와 이사비용 부담이 매번 적지 않습니다. 그래서 서울시에서는 정기적으로 이사비용 지원사업을 실시하고 있으며, 신청기간은 정확히 8월입니다. 이사비용과 원상복구비(중개수수료)를 포함해 최대 40만원까지 실비로 지원해줍니다. 보통 이사비용과 원상복구비만 해도 40만원을 쉽게 넘기 때문에 선정이 되면 40만원을 받는다고 생각하면 됩니다(계좌로 이체해줍니다).

신청기간은 8월 13일부터 30일까지이니 기간 내에 꼭 신청해주세요 🙂 다만, 나이와 소득을 주로 고려한 아래 신청자격을 충족해야 합니다. 조건 ① 서울 거주(전입신고 완료) ② 19~39세(2004~1984년생) ③ 중위소득 150% 이하 ④ 월세 2억원 이하(거래금액 적용) 조건은 간단합니다. 서울로 전입 또는 서울 내 거주하는 분만 적용되며, 중위소득 150% 이하인 19~39세 청년에게 적용됩니다. (서울에서 타 지역으로 전입한 경우는 적용되지 않습니다.) 참고로 중위소득은 본인의 소득뿐만 아니라 가족의 소득도 고려합니다. 다만, 여기서 말하는 ‘가족’은 ‘부양가족’을 말합니다. 부모님과 별거하고 주민등록부에 따로 기재되어 있어도 소득이 없고 건강보험에 부모님 부양가족으로 등록되어 있다면 부모님의 소득도 살펴봅니다. 그렇게 명확하게 명시되어 있습니다. 소득이 없는 대부분의 대학생은 부모님의 부양가족이기 때문에 부모님의 소득을 확인하게 되고, 이 경우 부모님의 소득도 함께 확인합니다. 독립된 소득이 있는 신입생이라면 회사에 직장 가입자로 등록됩니다. 이 경우 1인 가구로서 소득만 확인하면 됩니다. 건강보험료 기준: 중위소득 150% 이 중위소득은 건강보험료를 기준으로 합니다. 1인 가구라면 급여명세서에 인쇄된 건강보험료가 월 119,657원 이하여야 합니다. 근로자의 건강보험료율은 3.545%입니다. 월 119,657원이라면 월급은 대략 3,567,059원으로 계산됩니다. 다만 위 표를 보면 334만원이라고 나와있네요. 비과세소득 등을 감안해서 그런 것 같아요. 어쨌거나 1인 가구의 월급이 334만원(세전) 이하라면 지원대상입니다. 가구원에 따라 중간소득이 다르니 위 표를 참고해주세요! 여기서 거래금액 기준으로 2억원 이하의 주택을 임대하고 있다면 여기의 거래금액은 보증금+월세 X 100입니다. 예를 들어 보증금이 5천만원이고 월세가 70만원이라면 거래금액은 5천만원+70만원 X 100=1억2천만원이 되므로 신청이 가능합니다. 이렇게 거래금액을 계산하시면 됩니다. 임대차계약서 첨부 필수 서울시에서 답변드렸듯이 임대차계약서가 없다면 신청 자체가 불가능합니다. (임대차계약서 사본 첨부 필수) 고시원이나 게스트하우스 등 별도 계약서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입주증명서로 대체 가능하나, 여기에 위 내용을 반드시 포함해야 합니다.(월세, 임대기간, 주소, 생년월일 등) 그리고 임대차계약 당사자가 신청인과 동일해야 하므로 당사자가 계약서에 서명해야 합니다. 많은 경우 가족이 신청인을 대신하여 계약서를 작성하지만, 안타깝게도 이 경우 이사비 지원이 불가능합니다. 선발인원은 4,000명입니다. 참고로 하반기 이사비 지원(하반기 중개수수료 지원 포함) 선발인원은 4,000명입니다. 원래는 2,000명이 될 예정이었으나 2배인 4,000명으로 늘어났습니다. 다만, 위 조건을 충족하는 이사비 지원 신청자 전원에게 지급되는 것은 아니며, 4,000명을 초과할 경우 우선순위에 따라 선발합니다. 사회적 약자(한부모, 다문화 가정 등)나 주거취약청소년(반지하·옥상·고시원 거주자)을 우선 선정하고, 그 후 건강보험료 고지금액이 가장 낮은 순으로 선정합니다.(무작위가 아니라 소득에 따라 선정합니다.) 여기서 옥탑·반지하·고시원은 임대차 계약서에 옥탑인지, 반지하(원룸 등)인지 고시원인지 명확히 명시해야 합니다. 하반기 이사비는 12월에 지급합니다. 본 신청을 통해 대상자로 선정되면 신청 시 기재한 통장으로 이사비가 직접 입금됩니다. 이사 기간은 2022년 1월 1일부터 2024년 8월 30일까지입니다. 참고로… 이번 서울시 이사비 지원은 사후 지원 정책입니다. 따라서 이미 이사를 한 경우에만 지원이 가능합니다. 8월 30일 이후에 이사할 계획이라면 해당사항이 없으며, 2022년 1월 1일~2024년 8월 30일 사이에 이사한 경우에만 지원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첨부서류 중 이미 지불한 이사비 또는 복구비 영수증, 신용카드 명세서 등 이사 시 발생한 비용 증빙서류를 첨부해야 합니다. 2022년 2월에 이사한 경우, 당시 계약증빙 및 보증금 내역을 찾아 신청하시면 됩니다. 2024년 하반기 신청기간은 8월 30일까지이므로, 해당 기간 내에 반드시 신청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