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50년대 중반에 태어난 저는 일제강점기나 지금은 한국전쟁이라고 불리는 한국전쟁을 직접 경험하지 않았습니다. 일본이 나라를 빼앗았고 식민 민족의 고통은 책으로만 들었을 뿐 직접 경험한 적은 없었다. 그래도 초등학교 때부터 글자를 배우고 배우던 그 시절이 내 마음에 새겨져 있었고, 일본군이나 북한군이 저지른 만행에 천 공헌을 하는 워게임을 하기로 마음먹고 반응했다. .
섹션 3.1의 104주년을 기념하는 오늘, 작년과 다른 느낌이 듭니다. 아마도 삶의 흔적과 무게를 정리할 시간이 다가오고 있기 때문일 것입니다. 모닝쇼에서 본 연해주에서 독립운동(실제로는 독립운동이 아니었다. 나라가 있었다)을 한 선조들의 후손들이 뿌리를 찾아 한국에 와서 대학에서 공부하고, 일부는 심지어 결혼하고 정착했습니다. 우리나라의 국력이 이만큼 성장한 것은 다행스러운 일입니다. 그러나 땅 찾기를 도왔던 일제강점기 우리 선조들의 독립운동과 달리 땅은 정치인들이 잘해서가 아니라 서민들의 노력의 결과일 뿐이었다. 독재자였지만 군 출신인 대통령을 현대화하려는 의지도 작용했다. 그의 뒤를 이은 군부 출신 대통령들은 그의 공적 덕만 보고 나라를 동서로 나누는 데 앞장섰다.
그 후 소위 민간인의 후계자, 어른이 되어서도 너무나 경멸했던 소위 삼김시대를 겪은 자, 관심지역의 파괴를 요구하고 진보에 걸었던 자, 무역고 출신 그를 무시하고 멸시하는 쓰레기 인간들에게서 무자비하게 멀어진다. 진보적 게임으로 세상을 어지럽히고 있으면서도 자기도 모르게 서점을 차린 게 정치를 배운 게 안타깝다. 내가 겪은 일 후에 우리가 경멸하는 제비는 발 아래도 닿지 않는 것입니다. 이 일기를 읽고 있는 내 주변의 소위 진보주의자들. 당신은 아마 나를 무지한 친구라고 비웃을 것입니다. 내가 항상 하는 말이 내가 경험하지 못한 일제강점기를 안다고 하면서 요즘은 나를 친일파라고 비웃는다는 식으로 말한다면? 그리고 어디선가 갑자기 나타나 세상을 집어삼키듯 야성적인 눈빛으로 세상을 공격하는 변호사의 결말이 궁금하다. 거칠기를 느낄 수 있습니다.
섹션 3.1 오늘,
조국 광복을 위해 머나먼 땅에 목숨과 재산을 바치신 선조들께 감사와 경의를 표합니다.
-2023. 3. 1. 오늘은 날씨도 우울해 보인다. “연희 여행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