ㅇ이더넷 프레임 헤더(변수: 64 ~ 1500)
ㅁ Ethernet 초기 발표 이후 IEEE 표준화 운동과 유사하게 Novell 등 자체 프레임 포맷 발표
ㅁ 이더넷 시그널링, 인코딩, 최대 및 최소 프레임 크기는 동일하나 프레임 포맷에 약간의 차이가 있는 출력 방식이 다수 존재하여 현재 서로 다른 이더넷 프레임을 동시에 사용하고 있다.
ㅁ 바이트 내 비트 전송 순서
> FCS를 제외한 LSB 전송
MAC Header: DA, SA, Len/Type
LLC Frame: Data, Padding
Trailer: FCS
ㅇ MAC 부계층 바로 위의 상위 계층인 802.2 LLC 부계층 관련 헤더 포함 여부
ㅁ DIX 2.0 이더넷 프레임
> 포함되지 않음
ㅁ IEEE 802.3 프레임
> 포함
ㅇ 노벨만의 프레임 포맷
ㅁ 1983년
DA (6), SA (6), Ethertype (2), Data (0xFFFF로 시작), FCS (4)
ㅇ 이더넷 v2 프레임 헤더(=DIX 2.0)
RFC 894
ㅁ 대역폭
> 10Mbit/s
DA (6), SA (6), Ethertype (2), Data (46 ~ 1500), FCS (4)
IEEE 802.3
Wh RFC 1042
ㅁ 대역폭
> 10Mbit/s, 100Mbit/s, 1Gbps 등
MAC Header(802. 3): DA, SA, Length
LLC Frame: 802.2 Header, Data
DA (6), SA (6), Len (2), 802.2 Header + Data (46 ~ 1500), FCS (4)
ㅇSNAP 헤더가 있는 IEEE 802.3
Wh RFC 1042
ㅁ 대역폭
> 10Mbit/s, 100Mbit/s, 1Gbps 등
MAC Header(802.3): DA, SA, Length
LLC Frame: 802.2 LLC Frame, SNAP Header, Data
802.2 LLC Frame Header: DSAP, SSAP, Control
SNAP Header: OUI, Type
DA (6), SA (6), Len (2), DSAP (1), SSAP (1), Control (1~2), OUI (3),+ Type (2), Data (가변), FCS (4)
ㅇ 802.1Q(최대 1522바이트)
MAC Header(802.3): DA, SA, Q Tag, Length/Type
LLC Frame: Data
DA (6), SA (6), Q Tag (4), Len/Type (2) Data (46 ~ 1500), FCS (4)
ㅇ 802.3as(최대 2000바이트)
ㅁ 2006년
MAC Header(802.3): DA, SA, Envelope Prefix, Length/Type
LLC Frame: Data
DA (6), SA (6), Envelope Prefix (2~482), Len/Type (2) Data (46 ~ 1500), Envelope Suffix(0~482), FCS (4)
ㅇ Ethernet v2 프레임 헤더 필드 – 서문(8)
ㅁ 헤더 시작 알림을 위한 데이터 동기화 신호
ㅁ 시스템에서 스스로 생성되고 소멸되기 때문에 패킷 전송 중에는 감지할 수 없다.
ㅁSFD
> 프리앰블의 끝을 11로 끝내는 1바이트 영역
// 7 Byte + 1 Byte(=SFD))
10101010 10101010 10101010 10101010 ... 10101011
ㅇ Ethernet v2 프레임 헤더 필드 – DA(6)
ㅁ 대상 MAC
ㅇ 이더넷 v2 프레임 헤더 필드 – SA(6)
ㅁ 소스 MAC
ㅇ Ethernet v2 프레임 헤더 필드 – 길이/유형(2)
ㅁ 상단 로그 표시
ㅁ 0x0600 이상일 경우 type(DIX 2.0)으로 해석
0x0800=IP
0x0806=ARP
0x0808=ICMP
등
ㅁ 0x0600보다 작으면 길이로 해석(IEEE 802.3)
> 수용할 수 있는 LLC 프레임 크기
ㅇ Ethernet v2 프레임 헤더 필드 – 페이로드(가변 46~1500바이트)
ㅁ 상위 레이어 PDU, 나머지 부분은 0비트 패딩
ㅇ 이더넷 v2 프레임 헤더 필드 – FCS (4)
ㅁ 패키지 마지막에 생성
ㅁ 이더넷 프레임 헤더로 간주되며 시스템 내에서 자체적으로 생성되고 소멸되기 때문에 패킷 전송 시 검출되지 않는다.
ㅁ FCS 값이 다르면 수신 패킷은 무시된다.
ㅁ CRC
> L2 헤더와 L2 페이로드 간의 오류/변조 확인 및 오류 감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