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개처럼 예쁘다_최보윤

이 책을 선택한 이유는 단연 제목 때문이다.

“너무 예뻐, 개같아.”

책날개에 따르면 최보윤 시인이 조선일보에 시인으로 데뷔했다.

잠깐만, 시조.

학창시절에는 국어를 별로 좋아하지 않았지만 시조도 별로 좋아하지 않았다. 글자 세기 규칙이 너무 이상해서 전혀 이해할 수 없었습니다. 하지만 시조입니다. 마지막으로,

엄밀히 말하자면

나는 최근에 이나영의 Always Standby를 읽었다. 노란색 표지에 제목만 보고 빌린거라 꿈에도 몰랐네요. 시가 될 것 같아요

엄밀히 말하자면

읽을 때도 몰랐습니다. 당신이 읽는 것은 시조입니다. 요즘은 산문처럼 긴 시가 많은데 그냥 짧고 간결해서 좋았다. 한참을 읽고 나서 알았다. 지금 읽고 있는 것은 시조입니다.

원조가 옛날 룰에 바빠서 따분한 말을 하는 줄 알았는데,

자연을 노래하고 바람을 읊을 줄 알았는데

이나영의 시조는 제목처럼 사회생활, 일상, 도시, 인간관계 등 에세이 소재로 표현할 수 있는 이야기를 시조의 형식으로 담고 있다. 냉장고 뒤지고 월세 걱정하면서 생각해보니 요즘 시조의 모습이구나.

이 책 덕분에 요즘 시조가 하는 일에 익숙해졌나 봅니다.

최보윤의 《너무 예쁜 개처럼》은 시조집인가 아닌가. 모든 시가 완벽한 시조 형식은 아니었다. 댓글을 보니 자유시를 시조의 틀에 집어넣었다고 하더군요. 진부하지 않은 작품들도 리듬감과 언어에 대한 생동감이 특징이었다. 검색해보니 품절이라 당황스럽네요. 시집에 가실래요? 더 쓰시겠습니까?

아무리 절판되어도 여기에 시를 올리는 것은 싫습니다. 도서관에 가면 볼 수 있으니 생각날 때마다 찾아보기로 했다. 나는 그것을 읽는 것을 즐겼고 혼란 스러웠습니다. 그래서 재미있는 시가 생각나면,

3장 6음 4성조 특유의 이 시조를 읽는데 식은땀이 났다. 글자 수만 맞춰보더니 시조라고 우겼다. 모든 사람은 평등하다고 하지만 시인과 나 사이에는 어떤 유사점이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을 것이다.

옛날의 틀에 현재의 감정을 담으면 요즘은 그냥 시가 된다.

언뜻 보기에 당연했지만 간과했다.

젊은 시인들의 시에 관심을 갖고 읽어볼 생각이다.